
목차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직장인과 사업주분들이 궁금해하실 '국민연금 보험료율 인상'에 대해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2026년부터 국민연금 보험료율이 단계적으로 인상됩니다. 당장 내년부터 바뀌는 것은 아니지만, 앞으로 내 월급에서 얼마의 돈이 더 빠져나가는지 미리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겠죠? 지금부터 핵심만 콕콕 짚어드리겠습니다.
한눈에 보는 국민연금 개혁 핵심 요약 📝
- 언제부터? 2026년 1월 1일부터 시행
- 어떻게? 현재 9%인 보험료율을 2033년까지 매년 0.5%p씩 올려 최종 13%로 조정
- 왜? 국민연금 기금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 월급 300만원 직장인이라면? 2026년에는 매달 7,500원, 2027년에는 15,000원을 더 내게 됩니다. (근로자 부담액 기준)
연도별 보험료율 인상 스케줄 (2026년부터 2033년까지)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2026년부터 8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오릅니다. 직장가입자의 경우, 인상되는 보험료를 회사와 근로자가 절반씩(50:50) 부담하게 됩니다.
연도 | 총 보험료율 | 근로자 부담률 | 사업주 부담률 |
---|---|---|---|
현재 (~2025) | 9.0% | 4.50% | 4.50% |
2026 | 9.5% | 4.75% | 4.75% |
2027 | 10.0% | 5.00% | 5.00% |
2028 | 10.5% | 5.25% | 5.25% |
2029 | 11.0% | 5.50% | 5.50% |
2030 | 11.5% | 5.75% | 5.75% |
2031 | 12.0% | 6.00% | 6.00% |
2032 | 12.5% | 6.25% | 6.25% |
2033 이후 | 13.0% | 6.50% | 6.50% |
그래서, 내 월급에서 얼마를 더 내야 할까?
가장 궁금한 부분이죠. 내 월급에 따라 매년 추가되는 납부액이 얼마인지 예시 표로 정리했습니다.
(매년 0.5%p 인상에 따른 연간 총 추가 납부액 기준)
월 급여 | 매년 늘어나는 총 보험료 | 근로자 추가 부담액 | 사업주 추가 부담액 |
---|---|---|---|
200만 원 | 10,000원 | 5,000원 | 5,000원 |
300만 원 | 15,000원 | 7,500원 | 7,500원 |
400만 원 | 20,000원 | 10,000원 | 10,000원 |
500만 원 | 25,000원 | 12,500원 | 12,500원 |
700만 원 | 35,000원 | 17,500원 | 17,500원 |
예시) 월급이 300만원인 직장인 A씨의 경우,
- 2025년까지: 매달 135,000원 납부 (300만원 x 4.5%)
- 2026년: 매달 142,500원 납부 (300만원 x 4.75%) → 7,500원 인상
- 2027년: 매달 150,000원 납부 (300만원 x 5.00%) → 15,000원 인상 (25년 대비)
- ...
- 2033년: 매달 195,000원 납부 (300만원 x 6.50%) → 총 60,000원 인상 (25년 대비)
자세한 표는 첨부파일을 확인해보세요.
국민연금 관련 Q&A
보험료율 인상과 관련하여 자주 묻는 질문들을 모아봤습니다.
Q1. 보너스, 성과급도 국민연금 보험료에 포함되나요?
네, 포함됩니다. 상여금이나 성과급은 받은 금액을 12개월로 나누어 월평균 소득에 합산한 뒤 보험료를 부과합니다.
Q2. 두 군데 이상에서 일하면 보험료는 어떻게 내나요?
각 사업장에서 받는 소득을 기준으로 각각 보험료가 부과됩니다. 두 곳의 소득을 합산하여 정산하는 건강보험료와는 방식이 다릅니다.
Q3. 월중에 입사하거나 퇴사하면 보험료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실제 근무한 일수만큼 일할 계산하여 보험료를 납부하게 됩니다.
Q4. 육아휴직 중에도 보험료를 내야 하나요?
육아휴직 기간에는 소득이 없으므로 보험료 납부가 면제되는 '납부예외' 신청이 가능합니다. 또한, 육아휴직급여를 받는 경우 최대 12개월까지 연금보험료 지원을 받을 수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Q5. 이직으로 공백 기간이 생기면 어떻게 되나요?
직장을 그만두면 자동으로 '지역가입자'로 전환됩니다. 소득이 없더라도 최소 보험료를 납부해야 연금 가입기간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소득이 없다면 '납부예외'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Q6. 프리랜서나 자영업자 같은 지역가입자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지역가입자는 국세청에 신고된 소득과 보유 재산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기준소득월액'을 정하고, 그 금액에 전체 보험료율(예: 2033년 기준 13%)을 곱하여 보험료 전액을 본인이 부담합니다.
Q7. 소득대체율(받는 돈)도 바뀌나요?
네, 이번 개편안에는 소득대체율을 2026년부터 43%로 조정하는 내용이 포함되었습니다.
오늘은 2026년부터 달라지는 국민연금 보험료율 인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당장은 부담이 늘어나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변화인 만큼 내용을 정확히 숙지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공식 정보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