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544 vs 080 대표번호, 우리 회사 비용 절감 선택은? (핵심 총정리)

라이프 by A Sentio 2025. 9. 14.

목차

    고객센터, 매장 안내, 이벤트 문의를 위해 대표번호 도입을 고민 중이신가요? 수많은 번호 중 1544, 1661 같은 전국대표번호와 080 수신자부담 번호 사이에서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지 막막할 수 있습니다. 두 번호는 단순히 숫자만 다른 것이 아니라, 통화료 부담 주체부터 비용 구조, 고객 경험까지 모든 것이 다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우리 비즈니스에 딱 맞는 대표번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두 모델의 핵심 차이점과 실제 비용, 상황별 추천 시나리오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가장 큰 차이점: 누가 통화료를 내나요?

    대표번호 선택의 가장 중요한 첫걸음은 ‘누가 통화료를 부담하는가’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 전국대표번호 (1544, 1661 등): 발신자(고객) 과금
      고객이 전화를 걸 때 통화료를 부담하는 방식입니다. 기업은 번호 사용료와 각종 부가서비스 비용만 지불하므로, 통화량이 많아도 비용을 예측하고 통제하기 쉽습니다.
    • 080 수신자부담: 수신자(기업) 과금
      고객은 무료로 전화를 걸 수 있고, 발생하는 모든 통화료를 기업이 부담합니다. 고객의 심리적 장벽을 낮춰 문의나 주문 전환율을 높이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한눈에 보는 모델 비교

    구분 전국대표번호 (1544/1661 등) 080 수신자부담
    요금 부담 발신자(고객) 통화료 부담, 기업은 회선·부가서비스료 부담 기업이 발신자 통화료 전액 부담
    적합 시나리오 정보 안내, 지점 연결 등 대기 시간이 길거나 콜이 많은 업종 상담 전환, 주문 유도, 마케팅 캠페인 등 고객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브랜딩 효과 8자리 번호로 기억하기 쉬움, 기업의 비용 통제 용이 ‘무료전화’ 브랜딩으로 고객 허들 제거, 이벤트성 콜 폭증 대응

    기업이 실제로 내는 비용, 꼼꼼히 따져보기

    대표번호 비용은 단순히 통화료뿐만 아니라, 월 고정비와 부가서비스 요금이 결합된 복합적인 구조를 가집니다. 실제 견적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본료: 착신 회선료와 번호 사용료

    • 착신 회선 접속료 (월/회선당): 대표번호로 걸려온 전화를 실제 응대할 사무실 전화나 콜센터로 연결해주는 회선 비용입니다. KT의 경우, 인터넷전화 단독 사용 시 월 11,000원부터 시작하며, 회선 수가 늘어날수록 단가는 낮아집니다.
    • 번호 사용료: 번호의 등급(A급, B급 등 기억하기 쉬운 정도)에 따라 최소 사용 회선 수가 정해지거나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SK브로드밴드KT Enterprise 등 통신사 상품 페이지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부가서비스 요금: ARS, 통화녹취, LBS

    고객 응대 품질을 높이기 위한 부가서비스는 대부분 월정액 또는 건당 과금으로 청구됩니다.

    항목 과금 방식 예시 단가 (월/건, VAT 포함)
    프리미엄 ARS 월정액/착신회선당 심플 1,650원 ~ AI형 22,000원
    통화 녹취 월정액/착신회선당 기본 11,000원, AI 지능망 22,000원
    LBS (가까운 지점 연결) 건당 KT·SKT 88원/건, LGU+ 13.2원~55원/건 (통신사별 편차 큼)
    Biz ARS (SKB) 월정액/수신회선 11,000원/회선

    3. 약정 할인과 위약금

    대부분의 통신사는 1~3년 약정 시 기본료나 부가서비스 요금을 할인해 줍니다. 다만, 약정 기간 내에 해지할 경우 할인받은 금액을 위약금(할인반환금)으로 반환해야 하므로 신중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 네트워크 환경도 중요해요!
    ARS, 통화녹취, LBS 같은 부가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사용하려면 기업용 인터넷 회선과 고정 IP가 필수적입니다. 대표번호 도입 시 관련 비용도 함께 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관련 글: KT 기업 인터넷 고정 IP 요금 완벽 가이드

    상황별 추천: 우리 회사에 맞는 대표번호는?

    Case 1. 전국 매장 연결 (LBS + 통화녹취)
    전국에 여러 지점을 둔 프랜차이즈나 서비스 센터에 적합합니다. LBS(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해 고객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으로 자동 연결해주고, 통화녹취 기능으로 서비스 품질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1544 등 전국대표번호를 사용해 기업의 비용 부담을 줄이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Case 2. 고객 상담 및 주문 전환 극대화 (080 무료 통화)
    홈쇼핑, 온라인 쇼핑몰, 마케팅 캠페인처럼 고객의 전화 문의나 주문을 최대한 유도해야 한다면 080 수신자부담 번호가 정답입니다. ‘무료’라는 이점 덕분에 고객의 참여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단, 대기 시간이 길어지면 기업의 통화료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합니다.

    Case 3. 단기 이벤트 및 트래픽 폭증 대응
    대규모 이벤트나 프로모션 진행 시, 080 번호는 통화료가 급증하여 비용 예측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반면, 전국대표번호는 발신자가 통화료를 부담하므로 기업은 트래픽이 몰려도 안정적으로 비용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대표번호 도입 전, 최종 체크리스트

    • 월평균 예상 통화량과 최대 동시 통화 수는?
    • 고객의 모바일 발신 비중은 어느 정도인가? (ARS 대기 시간이 길면 고객 불만 발생)
    • ARS는 몇 단계로 구성할 것인가? (단계에 따라 ARS 등급과 비용 달라짐)
    • 통화녹취는 필수인가? 보존 기간은 얼마나 필요한가?
    • LBS 사용 시, 통신사별 건당 과금 단가는 확인했는가?
    • 총 약정 기간과 중도 해지 시 위약금 조건은 숙지했는가?
    • 안정적인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및 고정 IP 비용까지 함께 검토했는가?

    자주 묻는 질문 (FAQ)

    Q. 대표번호로 카드결제 ARS를 구축할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다만, 별도의 PG사 연동, 보안 심사, 개발 비용이 추가로 발생합니다.

    Q. LBS(위치기반서비스)의 정확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A. 통신사 기지국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며, 보통 시/동 단위 매칭이 일반적입니다. 비용은 건당 과금됩니다.

    Q. 통화녹취를 위해 별도 장비가 필요한가요?
    A. 아니요. KT 등 주요 통신사는 별도 장비 없이 망에서 직접 녹취 기능을 제공하는 월정액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Q. 휴대폰 무제한 요금제인데 1544 번호도 무료인가요?
    A. 아닐 수 있습니다. 일부 요금제는 15XX, 16XX 번호로 거는 통화를 부가통화로 분류하여 기본 제공량에서 차감하거나 별도 과금합니다. ARS 안내 중 대기 시간도 통화 시간에 포함될 수 있어 고객의 요금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약정 없이 가입할 수 있나요?
    A. 가능하지만, 보통 1~3년 약정을 해야 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어 단가가 불리합니다. 중도 해지 시 위약금이 발생할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합니다.


    정보 출처 및 유의사항

    ※ 본 문서는 공식 안내 페이지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실제 요금은 프로모션, 가입 조건, 부가서비스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도입 전 반드시 최종 견적과 약관을 재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