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2025년 6월 2일부터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와 브랜드스토어의 수수료 체계가 크게 바뀝니다. 기존의 '유입수수료'가 사라지고, 모든 거래에 '판매수수료'가 새롭게 적용됩니다. 이번 개편은 스토어의 수익 구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모든 판매자분들이 반드시 내용을 숙지하고 대비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새로운 수수료 체계의 핵심 내용부터 실제 계산 예시, 판매자가 꼭 알아야 할 체크리스트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1. 무엇이 어떻게 바뀌나요? 핵심 요약
가장 큰 변화는 2025년 6월 2일부터 네이버 쇼핑을 통해 발생한 거래에 부과되던 유입수수료(2%, VAT 포함)가 폐지되고, 대신 모든 거래에 '판매수수료'가 신설된다는 점입니다.
- 시행일: 2025년 6월 2일
- 핵심 변경: 유입수수료(2%) 폐지 → 모든 거래에 '판매수수료' 신설
- 유지되는 수수료: '네이버페이(N페이) 주문관리 수수료'는 현행 유지됩니다. 사업자 매출 등급에 따라 영세 사업자는 1.98%부터 일반 사업자는 3.63%(VAT 포함)까지 그대로 적용됩니다. (주문형 가맹점 상세 수수료 도움말)
2. 새로운 '판매수수료', 자세히 알아보기
새롭게 도입되는 판매수수료는 스토어 종류(스마트스토어/브랜드스토어)와 고객 유입 경로(일반/판매자 마케팅)에 따라 요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점!
판매수수료는 VAT 별도로 고지되고, 기존 N페이 주문관리 수수료는 VAT 포함으로 고지됩니다. 실제 정산 금액을 계산할 때 혼동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아래 표에서 새로운 판매수수료 요율을 VAT 포함 기준으로 환산하여 정리했습니다.
구분 | 일반 판매수수료 (VAT 별도) | 일반 판매수수료 (VAT 포함 환산) | 판매자 마케팅 수수료 (VAT 별도) | 판매자 마케팅 수수료 (VAT 포함 환산) |
---|---|---|---|---|
스마트스토어 | 2.73% | 약 3.00% | 0.91% | 약 1.00% |
브랜드스토어 | 3.64% | 약 4.00% | 1.82% | 약 2.00% |
잠깐! '판매자 마케팅 수수료'는 무엇인가요?
판매자가 직접적인 마케팅 활동을 통해 유입시킨 고객의 거래에 대해 적용되는 할인 수수료율입니다.
- 네이버 광고(검색, 디스플레이 등)를 통한 유입은 별도 링크 설정 없이 자동으로 할인 요율이 적용됩니다.
- 블로그, SNS 등 외부 채널을 통한 유입은 판매자센터에서 발급한 전용 마케팅 링크를 사용해야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네이버 광고주센터 공지)
3. 실제 정산 예시: 내 스토어엔 얼마가 적용될까?
새로운 수수료 체계가 실제 정산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3가지 시나리오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N페이 주문관리 수수료는 일반 등급인 3.63%로 가정)
예시 ①: 저가 상품 (스마트스토어, 일반 유입)
- 상품가 10,000원, 쿠폰 1,000원, 포인트 500원 사용, 배송비 3,000원
- 상품 결제 금액: 10,000 - 1,000 - 500 = 8,500원
- ① 판매수수료: 8,500원 × 2.73% = 232원 (VAT 포함 시 255원)
- ② N페이 수수료: (상품 8,500원 + 배송비 3,000원) × 3.63% = 419원
- 총 수수료: 255원 + 419원 = 약 674원
- 포인트: 저가 상품에 배송비가 포함될 경우, N페이 수수료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집니다.
예시 ②: 중가 상품 (스마트스토어, 마케팅 유입)
- 상품가 50,000원, 쿠폰 10%(5,000원) 사용, 배송비 3,000원
- 상품 결제 금액: 50,000 - 5,000 = 45,000원
- ① 판매자 마케팅 수수료: 45,000원 × 0.91% = 409원 (VAT 포함 시 450원)
- ② N페이 수수료: (상품 45,000원 + 배송비 3,000원) × 3.63% = 1,742원
- 총 수수료: 450원 + 1,742원 = 약 2,192원
- 포인트: 광고나 마케팅 링크를 통한 유입을 늘리면 판매수수료 절감 효과가 매우 큽니다.
예시 ③: 고가 상품 (브랜드스토어, 일반 유입)
- 상품가 300,000원, 쿠폰 5%(15,000원) 사용, 포인트 5,000원 사용, 배송비 0원
- 상품 결제 금액: 300,000 - 15,000 - 5,000 = 280,000원
- ① 판매수수료: 280,000원 × 3.64% = 10,192원 (VAT 포함 시 11,211원)
- ② N페이 수수료: 280,000원 × 3.63% = 10,164원
- 총 수수료: 11,211원 + 10,164원 = 약 21,375원
- 포인트: 브랜드스토어의 일반 유입 수수료는 N페이 수수료와 비슷한 수준으로, 총 수수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습니다.
4. 기존 '유입수수료 2%'와 비교하면 손익은?
판매자 입장에서 가장 궁금한 것은 '그래서 마진이 오를까, 내릴까?'일 것입니다. 과거 유입수수료 2%와 새로운 판매수수료를 시나리오별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VAT 포함 환산 기준)
시나리오 | 과거 유입 2.00% | 현재 판매수수료 | 수수료율 변화 |
---|---|---|---|
스마트스토어 · 마케팅 유입 | 2.00% | 약 1.00% | -1.00%p (유리) |
스마트스토어 · 일반 유입 | 2.00% | 약 3.00% | +1.00%p (불리) |
브랜드스토어 · 마케팅 유입 | 2.00% | 약 2.00% | ±0.00%p (동일) |
브랜드스토어 · 일반 유입 | 2.00% | 약 4.00% | +2.00%p (매우 불리) |
결론적으로, 자체 마케팅이나 네이버 광고를 통해 고객을 유입시키는 판매자에게는 유리해지고, 네이버 쇼핑 일반 검색이나 카테고리 노출에 의존하는 판매자에게는 불리해지는 구조입니다.
5. 판매자가 꼭 알아야 할 체크리스트
이번 개편에 맞춰 판매자가 점검하고 준비해야 할 사항들을 정리했습니다.
- 브랜드스토어 전환 재검토: 브랜드스토어는 브랜딩과 노출에 장점이 있지만, 일반 판매수수료율이 3.64%(VAT 별도)로 크게 오릅니다. 내 스토어의 유입 경로와 마진율을 분석하여 전환 여부를 신중히 판단해야 합니다.
- 마케팅 링크 적극 활용: 외부 채널(블로그,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에 상품을 홍보할 때는 반드시 판매자센터에서 발급한 마케팅 전용 링크를 사용해 수수료를 절감하세요.
- 광고 트래킹 충돌 주의: 네이버 광고 집행 시, 소재 URL에 마케팅 링크를 중복으로 넣으면 성과 추적이 꼬일 수 있습니다. 광고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마케팅 유입으로 인식하므로, 일반 상품 URL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네이버 광고주센터 공지)
- 수익성 분석 및 가격 재조정: 새로운 수수료율을 반영하여 상품별 마진 시트를 업데이트하고, 필요하다면 판매가 조정을 검토해야 합니다.
6. 자주 묻는 질문 (FAQ)
Q. 배송비에도 판매수수료가 붙나요?
A. 아니요. 판매수수료는 상품 금액에만 부과됩니다. 배송비에는 N페이 주문관리 수수료만 적용됩니다. (스마트스토어 수수료 종류 안내)
Q. 쿠폰이나 포인트를 사용하면 수수료는 어떤 금액 기준으로 계산되나요?
A. 모든 할인이 적용된 후 고객이 '최종 결제하는 금액'을 기준으로 수수료가 산정됩니다.
Q. 외부 쇼핑몰에 네이버페이 버튼만 연동해서 사용하는데, 저도 해당되나요?
A. 아니요. 이번 개편은 스마트스토어/브랜드스토어에 적용됩니다. 외부몰에 네이버페이 결제만 연동한 '주문형 가맹점'은 기존과 동일한 N페이 주문관리 수수료(영세 1.98% ~ 일반 3.63%)만 적용됩니다. (주문형 가맹점 상세 수수료 도움말)
Q. 환불이나 부분 취소가 발생하면 수수료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A. 주문이 최종적으로 확정(구매확정, 반품완료 등)될 때 수수료가 정산됩니다. 취소나 환불이 발생하면 해당 금액만큼의 수수료가 정산 과정에서 자동으로 차감되거나 보정됩니다. (취소/정산 관련 도움말)
7. 결론: 지금 바로 준비해야 할 액션 플랜
이번 네이버 쇼핑 수수료 개편은 모든 판매자에게 중요한 변화입니다. 더 이상 네이버의 트래픽에만 의존하기보다, 적극적인 외부 마케팅과 광고를 통해 '충성 고객'을 확보하는 전략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지금 바로 내 스토어의 마진 계산표를 업데이트하고, 광고 및 마케팅 전략을 재점검하여 2025년의 변화에 현명하게 대비하시길 바랍니다.
면책 조항: 본 포스트는 공식 문서를 바탕으로 작성된 정보성 콘텐츠이며, 세무, 법률, 회계 관련 전문 자문이 아닙니다. 실제 정산 시에는 스토어별 정산 화면의 최신 정보를 반드시 직접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